본문 바로가기
호주니드 정보이야기

2023년 전국 지역별 청년통장 총정리

by hjriverparkview 2023. 4. 27.

청년 통장은 20~3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저금리, 저금융 계좌입니다. 저축금리와 함께 청년들에게 특별한 혜택을 제공하며 저축을 유도하고 경제 활동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고금리 시대에 내 집, 내차, 내가 원하는 청사진이 하나쯤 가지고 계실 텐데요. 똑똑하게 저축하고 사용하는 방법, 오늘 전국에서 진행되는 청년 통장 관련 2023년 최신판으로 모아보았습니다.

청년 통장

  1. 전국 청년 내일 저축계좌
  2. 인천 드림 for 청년통장
  3. 서울 희망 두 배 청년 통장
  4. 대전 미래 두 배 청년 통장
  5. 부산 기쁨 두 배 통장
  6. 대구 청년희망적금
  7. 경기 청년 노동자 통장
  8. 광주 청년 13 (일+삶) 통장

1. 전국 청년 내일저축계좌

지원내용
  • 월 10만 원 이상 50만 원 이하 자율 저축
  •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청년은 30만 원 정부 지원
  • 중위소득 50% ~ 100% 가구 청년은 10만 원 정부 지원
  • 본인 저축액 360만 원 포함, 720만 원 ~ 1,440만 원 + 이자 수령
지원 대상
  • 현재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세 ~ 34세 청년
  • 월평균 소득이 세전 50만 원 ~ 22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인정액이 중위 100% 이하
  • 가구 재산 3.5(대도시), 2억(주소도시)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

2. 인천 드림 for 청년통장

지원내용
  • 인천 소재 중소, 중견 제조기업 및 지식서비스산업 기업 재직 청년 근로자가 3년간 매월 10만 원 저축 (360만 원)
  • 인천시 지원금 640만 원 + 이자 포함 약 1,000만 원 수령
  • 저축액 대비 2배 이상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대상
  • 주민등록상 1983년 4월 1일생 (만 39세 이하) 인천 거주 청년
  • 동일 기업 1년 이상 재직 (중소, 중견 제조, 지식서비스산업)
  • 4대 보험 가입, 주당 근로시간 35시간 이상이며 기본급, 정기 상여금 포함 계약 연봉 기준 3,741만 원 이하

인천 드림for 청년 통장

3. 서울 희망 두 배 청년 통장

지원 내용
  • 청년 저축액 대비 1:1로 서울시에서 매칭
  • 저축액 10만 원 / 15만 원
  • 저축기간 2년 / 3년 중 선택
지원 대상
  • 1988년 1월 1일생부터 2005년 12월 31일 출생자 중 서울시 거주자 (재외국인 불가)
  • 현재 근로 중이며 본인 소득이 세전 월 255만 원 이하
  • 부양의무자 (부모, 배우자) 소득 연 1억 미만, 재산 9억 미만

서울 희망 두배 청년통장

4. 대전 미래 두 배 청년 통장

지원 내용
  • 청년 저축액 대비 1:1로 대전시에서 매칭합니다.
  • 저축액 10만 원 / 15만 원
  • 저축기간 2년 / 3년 중 선택
지원 대상
  • 공고일 기준 주소지가 대전광역시인 만 18세 ~ 39세 청년
  • 대전시 고용보험 가입된 사업장에서 3개월 이상, 주 30시간 이상 근로 중이거나 대전시에서 6개월 이상 사업 운영 중인 청년
  • 건강보험료 중위소득 140% 이하

대전 미래 두배 청년 통장

5. 부산 기쁨 두 배 통장

지원 내용
  • 청년 저축액 대비 1:1로 부산시에서 매칭합니다.
  • 저축액 10만 원 / 20만 원 / 30만 원
  • 저축기간 18개월 / 24개월 / 36개월 중 선택 가능합니다.
지원 대상
  • 공고일 기준 부산광역시 거주, 부산 소재 사업장에 재직 또는 창업 중인 만 18세 ~ 34세 이하 고용보험 가입 청년
  • 본인 세전 월소득이 중위 140% 이하 (약 290만 9천 원)
  • 부모님 및 배우자 소득인정액이 중위 120% 이하

부산 기쁨 두배 통장

6. 대구 청년 희망적금

지원 내용
  • 매월 10만 원씩 12개월 저축, 8개월 이상 근로
  • 대구시 지원금 월 20만 원씩, 총 240만 원 지원
  • 만기 시 360만 원 수령
지원 대상
  • 공고일 기준 주소지가 대구광역시이며 고용보험 가입된 단기 일자리 종사 중인 만 18세 ~ 34세 청년
  • 부양의무자 연소득 1억 이하, 재산가액 9억 이하
  • 본인 세전 월소득이 62만 원 ~ 250만 원 이하

대구 청년희망적금

7. 경기 청년 노동자 통장

지원 내용
  • 매월 10만 원씩 2년 저축 (총 240만 원)
  • 경기도 지원금 매월 14만 2천 원, 2년. 후 약 580만 원 수령
  • 580만 원 중 100만 원은 지역화폐로 지급
  • 재무, 노무교육, 금융 컨설팅 등 사회적 자립역량 강화 지원
지원 대상
  • 공고일 기준 주소지가 경기도인 만 18세 ~ 34세 청년
  • 근로유형에 관계없이 공고일 기준 근로하는 사람 (휴직자 가능)
  • 가구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100% 이하 (건강보험료 기준)
  • 2023년 기준 1인 세전 월 소득 207만 원, 직장 건강보험료 88,753원

경기 청년노동자통장

8. 광주 청년 13 통장

지원 내용
  • 매월 10개월간 월 10만 원 저축 (100만 원)
  • 광주시 지원금 100만 원 (총 200만 원 수령)
  • 더드림+통장으로 연장하게 되면 금리 17% 상당 추가 지원
  • 온라인 금융멘토링, 트렌드 금융역량 강화 지원
지원 대상
  •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 39세 청년 (학생 제외)
  • 근로유형(상용직, 계약직) 등에 관계없이 공고일 기준 1개월 이전부터 계속 근로 중인 사람 (4대 보험 가입 여부 관계없음)
  • 세전 월소득이 723,368원 ~ 2,493,470원 사이

광주 청년13 통장


오늘 2023년 최신버전으로 전국에서 진행 또는 진행 예정인 청년 통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시간 아끼실 수 있도록 버튼도 만들어놨으니 똑똑하고 알뜰하게 챙겨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